케이맘

정부지원 산후도우미 신청 시 필요 서류

케이맘홀릭 2023. 10. 23. 14:39

 

정부에서는 임신과 출산 과정을 통해

필요로 하는 도움을 지원해 주고 있어요.

그중에서 출산 가정을 지원 사업 중 하나인

산모 신생아 건강관리 지원 사업이에요.

 

 

 

출처 보건복지부

산모 신생아 건강관리사 지원 대상자는

기준 중위소득 150% 이하 출산가정이지만

수원시의 경우에는 예외 지원을 받을 수 있어요.

기준 중위소득 150% 초과 출산가정 중

출산 예정일 기준 엄마 또는 아빠가

수원시에서 1년 이상 거주한 경우와

셋째아 이상 출산 가정, 쌍생아 이상 출산 가정,

희귀난치성 질환, 장애인 산모 및 장애 신생아,

만 24세 미만 미혼모 산모 가정이라면

예외 대상으로 정부지원 산후도우미 지원이 가능해요.

 

출처 복지로

 

복지로 홈페이지에서

산모 신생아 건강관리 지원 대상자 기준이

되는지 모의계산을 해볼 수 있어요.

입력한 자료를 기초로 하여 계산이 된 것이기 때문에

대상자 여부와 지원금액에 대한 내용은

주민센터로 문의해 보는 게 좋다고 해요.

모의계산은 참고용으로만 해보면 좋을 거 같아요.

 

 

정부지원 산후도우미는 출산 예정일 40일 전부터

출산일로부터 30일까지 신청을 해야 해요.

지원하기 전 필요한 서류를 미리 준비한다면

신청하면서 따로 서류를 준비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줄어들겠죠?

산모 신생아 산후 관리사 지원을 위한

준비물은 다음과 같아요.

기본적으로 신청서와 신분증이 있어야 해요.

산모 또는 배우자 건강보험 자격 확인 통보서는

맞벌이 부부의 경우라면 부부 모두 필요해요.

건강보험료 납부확인서는 건강보험공단으로

문의하면 팩스나 직접 자료를 받아볼 수 있어요.

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에서도

쉽게 발급받을 수 있어요.

만약 건강보험료 확인이 불가한 경우에는

급여명세서나 근로소득 원천징수부 등

소득을 증명할 수 있는 자료를 준비해야 해요.

산모수첩도 준비물에 해당이 되는데

출산 후라면 출생증명서가 필요하답니다.

주민등록등본, 가족관계증명서도 있어야 해요.

예외지원 대상자라면 예외지원 대상자임을

확인할 수 있는 자료를 준비해야 해요.

 

산모 신생아 건강관리사 지원 사업은

단태아, 쌍태아 등 태 유형별과

단축형, 표준형, 연장형 서비스 기간에 따라서

서비스 가격 및 정부 지원금이 달라져요.

위 표를 참고하여 본인 기준에 맞는

지원금을 확인해 보면 좋을 거 같아요.

 

 


 

출산 후 아이의 양육과 산모의 건강 회복을 위해

산후도우미를 이용하는 데 있어서 발생하는

비용을 지원하여 경제적 부담을 덜어주는

정부지원 산후도우미!

산후도우미 서비스 업체를 찾는다면

케이맘산후도우미 수원점에서

상담을 받아보는 건 어떨까요?